🦠 Ureaplasma urealyticum(유레아플라즈마) (역학 · 증상 · 진단검사 · 임상적 의의 · 치료 · 임신/신생아 영향까지)안녕하세요. 의료재단에서 다양한 병·의원의 검체를 관리·검토하는 사람입니다.Ureaplasma는 검사실에서 매우 자주 접하는 균이지만, **‘무증상 보균 vs 병원성 감염’**을 구분하는 해석이 까다롭습니다.오늘은 Ureaplasma urealyticum(그리고 관련 species) 의 생물학적 특성부터, 언제 검사하고(또는 치료해야 하는지), 어떤 검사법이 적합한지, 임신·신생아에서의 중요성까지 아주 세세하게 정리합니다. 1) Ureaplasma란? 기초 정리속성: Mollicutes 계열(꼴랑 소형 세포, 세포벽 없음). 그래서 베타락탐계(페니실린 등)는 효과..
🧬 클라미디아 감염, “조용한 감염병” Chlamydia trachomatis 안녕하세요. 의료재단에서 감염병 관련 검사를 다루고 있는 사람입니다.요즘 병원에서 STD(성매개감염병) 검사 의뢰를 보면,가장 자주 등장하는 세균 중 하나가 바로 Chlamydia trachomatis(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입니다.겉보기엔 아무 증상이 없어 ‘괜찮겠지’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지만,사실 성인 불임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이 균입니다.오늘은 클라미디아의 특징부터 증상, 진단, 치료까지임상병리적 관점에서 자세히 소개해드릴게요. 🦠 Chlamydia trachomatis란?Chlamydia trachomatis는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 형태를 가진 특이한 병원체입니다.스스로 증식하지 못하고 숙주세포 안..
🦠 Neisseria gonorrhoeae — 임질균의 특징·증상·진단검사·치료안녕하세요. 의료재단에서 근무하며 매일 수많은 감염병 검사를 다루는 사람입니다.오늘은 임상 현장에서 자주 접하지만 여전히 오해가 많은 Neisseria gonorrhoeae, 즉 임질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이 균은 단순한 성병의 원인균이 아니라,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면 전신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세균입니다. 🧬 Neisseria gonorrhoeae란?Neisseria gonorrhoeae는 그람음성 쌍구균(Gram-negative diplococcus) 으로,현미경으로 보면 두 개의 둥근 세균이 마주보고 붙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이 균은 인체의 점막 — 특히 요도, 자궁경부, 직장, 인후, 결막..
🧬 성매개감염병(STD), 조용히 퍼지는 감염의 경고 — 진단검사부터 예방법까지안녕하세요.저는 의료재단에서 근무하며 매일 수많은 병·의원에서 의뢰되는 각종 감염병 검사 결과를 검토하고 있습니다.그중에서도 꾸준히 늘고 있는 검사 중 하나가 바로 성매개감염병(ST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검사예요.STD는 과거엔 단순히 “성병”이라고 불렸지만,요즘은 감염병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며, 남녀노소 누구나 감염될 수 있고,초기에 증상이 미미하거나 무증상인 경우가 많아조기 진단이 특히 중요하거든요. 💡 성매개감염병(STD)이란?성매개감염병은 말 그대로 성접촉(질·항문·구강 성관계 등) 을 통해세균, 바이러스, 원충 등이 전파되는 질환을 말합니다.대표적인..
지방간 — 원인·증상·중요성·혈액검사·예방법 (임상검사 중심)요즘 ‘지방간’이라는 말을 흔히 들으시죠. 저는 의료재단에서 여러 병원 검사 의뢰를 조율하며 간기능 이상으로 의뢰되는 혈액검사를 매일 접합니다. 정기검진에서 우연히 지방간 소견(초음파)이나 약간 올라간 간수치로 발견되는 환자가 많고, 그중 일부는 시간이 지나면서 간섬유화·간경변으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지방간을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질환”**으로 보는 관점이 매우 중요합니다. 1) 지방간이란? — NAFLD → MAFLD로의 개념 변화지방간은 간세포에 지방(중성지방)이 과도하게 쌓이는 상태입니다. 과거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 개념이 주류였지만, 최근에는 대사 이상 연관성(MAFLD) 개념이 강조되어 비만·당뇨·대사증후..
🧬 B형간염 완전정리 — 혈액검사로 보는 감염부터 면역까지진단 기준·검사 종류·검체관리까지 의료재단 근무자의 시선으로저는 의료재단 소속으로 여러 병원·의원의 검체 의뢰를 조율하고 있습니다.그중 특히 눈에 띄는 것이 ‘간이 약하다’ 혹은 ‘간수치가 조금 나빠요’라는 환자분들의 B형간염 검사 요청입니다. 단순 간수치 이상으로 시작했더라도 B형간염 바이러스(HBV) 감염 여부·보유 여부·면역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지 않으면 치료 타이밍을 놓치기 쉽습니다. 오늘은 B형간염이 무엇인지, 왜 혈액검사가 중요한지, 그리고 어떤 검사를 통해 진단과 관리가 이루어지는지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B형간염 혈액검사 – HBsAg·Anti-HBs·HBV DNA로 보는 감염·면역·활동성 1️⃣ B형간염이란?B형간염은 Hepatit..
🌬️ 모세기관지염, 단순한 감기라고 넘기면 위험해요호흡기 바이러스가 만든 아이들의 숨찬 이야기안녕하세요. 의료재단에서 근무하며 매일 병원으로부터 다양한 호흡기 검사를 의뢰받는 사람입니다.요즘처럼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기침과 콧물, 열로 병원을 찾는 아이들이 많습니다.그중에서 유독 심한 기침, 쌕쌕거림(천명), 호흡곤란이 동반되는 경우 —바로 **‘모세기관지염(Bronchiolitis)’**을 의심해야 합니다.실제 진료 현장에서도 “감기겠지” 하고 며칠 지켜보다가,숨이 차서 응급실로 내원하는 아기들을 자주 봅니다.오늘은 그 모세기관지염이 무엇인지, 어떤 원인과 증상이 있는지,그리고 진단을 위해 어떤 임상검사가 시행되는지 자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모세기관지염이란?모세기관지염은 **기관지보다 더 ..
🌟 가와사키병 — “5일 이상 열 + 발진이면 놓치지 마세요”증상·진단기준·검사·예방법·치료까지 한눈에 보기저는 의료재단에서 다양한 병원과 의원의 검체검사를 조율하며, 여러 소아질환이 의뢰되는 현장을 보아왔습니다. 그중 특히 가와사키병은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느낍니다. 증상이 일반 열병·발진과 유사해 놓치기 쉬우나, 치료가 늦으면 심장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오늘은 가와사키병이 무엇인지, 임상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진단기준과 진단검사들, 그리고 예방법과 치료법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1️⃣ 가와사키병이란 무엇인가?가와사키병은 주로 5세 미만의 유아 및 소아에게 발생하는 혈관염(vasculitis)의 일종으로, 특히 갈색혈관(중간 크기의 혈관)에 염증을 일으킵니다. 질병통..
